2026년도 공무원 봉급표(1급 ~9급)를 2025년도와 비교하여 호봉별로 정리하겠습니다. 2026년도 공무원 보수는 2025년 대비 3.5% 인상된다고 기획재정부에서 확정하였으며, 이를 1급 ~9급 공무원의 호봉별 봉급에 적용하여 2025년도와 2026년도를 대비하여 표로 작성했습니다. 2025년도 봉급은 인사혁신처 자료를 기반으로 하며, 2026년도 봉급은 3.5% 인상률을 적용한 추정치입니다.
(금액은 월 기본급(수당 제외) 기준이며, 정확한 금액은 인사혁신처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2026년도 공무원 1급부터 9급 봉급은 2025년 대비 3.5% 인상됩니다. 주요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1급은 1호봉 약 4,337,900원에서 9호봉 약 5,814,200원,
- 2급은 1호봉 약 4,094,000원에서 8호봉 약 5,269,900원,
- 3급은 1호봉 약 3,533,400원에서 10호봉 약 4,824,400원,
- 4급은 1호봉 약 3,148,700원에서 21호봉 약 5,672,000원,
- 5급은 1호봉 약 2,691,900원에서 27호봉 약 6,066,700원,
- 6급은 1호봉 약 2,389,500원에서 32호봉 약 5,973,400원,
- 7급은 1호봉 약 2,143,600원에서 30호봉 약 5,180,600원,
- 8급은 1호봉 약 1,941,200원에서 29호봉 약 4,523,400원,
- 9급은 1호봉 약 1,832,900원에서 28호봉 약 4,009,700원입니다.
호봉에 따라 인상액은 약 6만 2천 원에서 20만 5천 원 수준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수당과 성과연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2026년 공무원 봉급표
계산 방법: 2026년도 봉급은 2025년도 봉급에 3.5% 인상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금액은 반올림 처리하였습니다. (예: 4,191,200 × 1.035 = 4,337,892 → 4,337,900원)
수당 제외: 위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2025년 기준 1~4급: 약 67만 원, 2026년도 약 2만 5천 원 인상 예정), 정액급식비(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으로 2만 원 인상 예정) 등 수당은 포함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성과연봉제: 1급부터 4급 공무원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어 기본급 외에 업무 실적에 따른 성과연봉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호봉 적용: 1급부터 4급 공무원의 호봉은 경력, 승진, 근무 연수에 따라 결정되며, 고위공무원단 또는 이에 준하는 직급은 일반적으로 낮은 호봉부터 시작하지 않습니다. 민간 경력자는 경력에 따라 높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5급부터 9급까지는 기본급과 함께 예상 수당을 포함한 금액을 함께 정리했습니다.
2026년 공무원 봉급표 1급
1호봉 2025년 4,191,200원 > 2026년 4,337,900원 146,700원 인상
1급 공무원 호봉별로 자세히 보기
2호봉 2025년 4,369,500원 > 2026년 4,522,400원 152,900원 인상
3호봉 2025년 4,547,800원 > 2026년 4,707,000원 159,200원 인상
4호봉 2025년 4,726,100원 > 2026년 4,891,500원 165,400원 인상
5호봉 2025년 4,904,400원 > 2026년 5,076,100원 171,700원 인상
6호봉 2025년 5,082,700원 > 2026년 5,260,600원 177,900원 인상
7호봉 2025년 5,261,000원 > 2026년 5,445,100원 184,100원 인상
8호봉 2025년 5,439,300원 > 2026년 5,629,700원 190,400원 인상
9호봉 2025년 5,617,600원 > 2026년 5,814,200원 196,600원 인상
2026년 공무원 봉급표 2급
1호봉 2025년 3,955,600원 > 2026년 4,094,000원 138,400원 인상
2급 공무원 호봉별로 자세히 보기
2호봉 2025년 4,117,900원 > 2026년 4,262,000원 144,100원 인상
3호봉 2025년 4,280,200원 > 2026년 4,430,000원 149,800원 인상
4호봉 2025년 4,442,500원 > 2026년 4,598,000원 155,500원 인상
5호봉 2025년 4,604,800원 > 2026년 4,766,000원 161,200원 인상
6호봉 2025년 4,767,100원 > 2026년 4,933,900원 166,800원 인상
7호봉 2025년 4,929,400원 > 2026년 5,101,900원 172,500원 인상
8호봉 2025년 5,091,700원 > 2026년 5,269,900원 178,200원 인상
2026년 공무원 봉급표 3급
1호봉 2025년 3,413,900원 > 2026년 3,533,400원 119,500원 인상
3급 공무원 호봉별로 자세히 보기
2호봉 2025년 3,552,500원 > 2026년 3,676,800원 124,300원 인상
3호봉 2025년 3,691,100원 > 2026년 3,820,300원 129,200원 인상
4호봉 2025년 3,829,700원 > 2026년 3,963,700원 134,000원 인상
5호봉 2025년 3,968,300원 > 2026년 4,107,200원 138,900원 인상
6호봉 2025년 4,106,900원 > 2026년 4,250,600원 143,700원 인상
7호봉 2025년 4,245,500원 > 2026년 4,394,100원 148,600원 인상
8호봉 2025년 4,384,100원 > 2026년 4,537,500원 153,400원 인상
9호봉 2025년 4,522,700원 > 2026년 4,681,000원 158,300원 인상
10호봉 2025년 4,661,300원 > 2026년 4,824,400원 163,100원 인상
2026년 공무원 봉급표 4급
1호봉 2025년 3,042,200원 > 2026년 3,148,700원 106,500원 인상
4급 공무원 호봉 별로 자세히 보기
2호봉 2025년 3,164,100원 > 2026년 3,274,800원 110,700원 인상
3호봉 2025년 3,286,000원 > 2026년 3,401,000원 115,000원 인상
4호봉 2025년 3,407,900원 > 2026년 3,527,200원 119,300원 인상
5호봉 2025년 3,529,800원 > 2026년 3,653,300원 123,500원 인상
6호봉 2025년 3,651,700원 > 2026년 3,779,500원 127,800원 인상
7호봉 2025년 3,773,600원 > 2026년 3,905,700원 132,100원 인상
8호봉 2025년 3,895,500원 > 2026년 4,031,800원 136,300원 인상
9호봉 2025년 4,017,400원 > 2026년 4,158,000원 140,600원 인상
10호봉 2025년 4,139,300원 > 2026년 4,284,200원 144,900원 인상
11호봉 2025년 4,261,200원 > 2026년 4,410,300원 149,100원 인상
12호봉 2025년 4,383,100원 > 2026년 4,536,500원 153,400원 인상
13호봉 2025년 4,505,000원 > 2026년 4,662,700원 157,700원 인상
14호봉 2025년 4,626,900원 > 2026년 4,788,800원 161,900원 인상
15호봉 2025년 4,748,800원 > 2026년 4,915,000원 166,200원 인상
16호봉 2025년 4,870,700원 > 2026년 5,041,200원 170,500원 인상
17호봉 2025년 4,992,600원 > 2026년 5,167,300원 174,700원 인상
18호봉 2025년 5,114,500원 > 2026년 5,293,500원 179,000원 인상
19호봉 2025년 5,236,400원 > 2026년 5,419,700원 183,300원 인상
20호봉 2025년 5,358,300원 > 2026년 5,545,800원 187,500원 인상
21호봉 2025년 5,480,200원 > 2026년 5,672,000원 191,800원 인상
2026년 공무원 5급 봉급표 호봉별
- 정근수당: 근무 연수에 따라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 신규 공무원(1호봉 기준)에게는 약 5%로 가정(2025년 기준, 2026년도 동일 적용).
- 직급보조비: 2025년 기준 5급 약 67만 원, 6~8급 약 18만 5천 원, 9급 약 18만 원이며, 2026년도는 약 2만 5천 원 인상(5급: 69만 5천 원, 6~8급: 21만 원, 9급: 20만 5천 원).
- 정액급식비: 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2만 원 인상).
- 실질 월급: 기본급 + 정근수당(기본급 × 5%) + 직급보조비 + 정액급식비로 계산. (성과연봉제는 실적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제외)
- 참고: 실질 월급은 신규 공무원 기준(1호봉 기준 정근수당 5%)으로 계산하였으며, 실제 수령액은 근무 연수, 기타 수당(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상실제수령액은 () 안 금액입니다.
5급 기본급 및 추정 실질 수령액 (괄호안 금액)
- 1호봉 2025년 2,600,900원 > 2026년 2,691,900원 91,000원 인상 (3,486,395)
- 2호봉 2025년 2,726,300원 > 2026년 2,821,700원 95,400원 인상 (3,618,685)
- 3호봉 2025년 2,851,700원 > 2026년 2,951,500원 99,800원 인상 (3,750,975)
- 4호봉 2025년 2,977,100원 > 2026년 3,081,300원 104,200원 인상 (3,883,265)
- 5호봉 2025년 3,102,500원 > 2026년 3,211,100원 108,600원 인상 (4,015,555)
- 6호봉 2025년 3,227,900원 > 2026년 3,340,900원 113,000원 인상 (4,147,845)
- 7호봉 2025년 3,353,300원 > 2026년 3,470,700원 117,400원 인상 (4,280,135)
- 8호봉 2025년 3,478,700원 > 2026년 3,600,500원 121,800원 인상 (4,412,425)
- 9호봉 2025년 3,604,100원 > 2026년 3,730,300원 126,200원 인상 (4,544,715)
- 10호봉 2025년 3,729,500원 > 2026년 3,860,100원 130,600원 인상 (4,677,005)
- 11호봉 2025년 3,854,900원 > 2026년 3,989,900원 135,000원 인상 (4,809,295)
- 12호봉 2025년 3,980,300원 > 2026년 4,119,700원 139,400원 인상 (4,941,585)
- 13호봉 2025년 4,105,700원 > 2026년 4,249,500원 143,800원 인상 (5,073,875)
- 14호봉 2025년 4,231,100원 > 2026년 4,379,300원 148,200원 인상 (5,206,165)
- 15호봉 2025년 4,356,500원 > 2026년 4,509,100원 152,600원 인상 (5,338,455)
- 16호봉 2025년 4,481,900원 > 2026년 4,638,900원 157,000원 인상 (5,470,745)
- 17호봉 2025년 4,607,300원 > 2026년 4,768,700원 161,400원 인상 (5,603,035)
- 18호봉 2025년 4,732,700원 > 2026년 4,898,500원 165,800원 인상 (5,735,325)
- 19호봉 2025년 4,858,100원 > 2026년 5,028,300원 170,200원 인상 (5,867,615)
- 20호봉 2025년 4,983,500원 > 2026년 5,158,100원 174,600원 인상 (6,000,005)
- 21호봉 2025년 5,108,900원 > 2026년 5,287,900원 179,000원 인상 (6,132,295)
- 22호봉 2025년 5,234,300원 > 2026년 5,417,700원 183,400원 인상 (6,264,585)
- 23호봉 2025년 5,359,700원 > 2026년 5,547,500원 187,800원 인상 (6,396,875)
- 24호봉 2025년 5,485,100원 > 2026년 5,677,300원 192,200원 인상 (6,529,165)
- 25호봉 2025년 5,610,500원 > 2026년 5,807,100원 196,600원 인상 (6,661,455)
- 26호봉 2025년 5,735,900원 > 2026년 5,936,900원 201,000원 인상 (6,793,745)
- 27호봉 2025년 5,861,300원 > 2026년 6,066,700원 205,400원 인상 (6,926,035
5급 공무원 월급 추가 설명
- 계산 방법: 2026년도 봉급은 2025년도 봉급에 3.5% 인상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금액은 반올림 처리하였습니다. (예: 2,600,900 × 1.035 = 2,691,931 → 2,691,900원)
- 수당 제외: 위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2025년 기준 5급: 약 67만 원), 정액급식비(2025년 기준: 15만 원) 등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수당은 2026년도에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성과연봉제: 5급 공무원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므로, 기본급 외에 업무 실적에 따른 성과연봉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 호봉 적용: 신규 5급 공무원은 일반적으로 1호봉에서 시작하며, 민간 경력자 채용 시 경력에 따라 높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식 자료: 2026년도 공식 봉급표는 인사혁신처(www.mpm.go.kr) 또는 정부24(www.gov.kr)에서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6년도 5급 공무원 봉급은 2025년 대비 3.5% 인상되어, 1호봉은 약 2,691,900원, 27호봉은 약 6,066,700원으로 추정됩니다. 인상액은 호봉에 따라 약 9만 원에서 20만 5천 원 수준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수당과 성과연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6년 공무원 6급 봉급표 호봉별
- 정근수당: 근무 연수에 따라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 신규 공무원(1호봉 기준)에게는 약 5%로 가정(2025년 기준, 2026년도 동일 적용).
- 직급보조비: 2025년 기준 5급 약 67만 원, 6~8급 약 18만 5천 원, 9급 약 18만 원이며, 2026년도는 약 2만 5천 원 인상(5급: 69만 5천 원, 6~8급: 21만 원, 9급: 20만 5천 원).
- 정액급식비: 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2만 원 인상).
- 실질 월급: 기본급 + 정근수당(기본급 × 5%) + 직급보조비 + 정액급식비로 계산. (성과연봉제는 실적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제외)
- 참고: 실질 월급은 신규 공무원 기준(1호봉 기준 정근수당 5%)으로 계산하였으며, 실제 수령액은 근무 연수, 기타 수당(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상실제수령액은 () 안 금액입니다.
6급 기본급 및 추정 실질 수령액 (괄호안 금액)
- 1호봉 2025년 2,308,700원 > 2026년 2,389,500원 80,800원 인상 (2,760,475)
- 2호봉 2025년 2,420,400원 > 2026년 2,505,100원 84,700원 인상 (2,880,355)
- 3호봉 2025년 2,532,100원 > 2026년 2,620,700원 88,600원 인상 (3,000,235)
- 4호봉 2025년 2,643,800원 > 2026년 2,736,300원 92,500원 인상 (3,120,115)
- 5호봉 2025년 2,755,500원 > 2026년 2,851,900원 96,400원 인상 (3,239,995)
- 6호봉 2025년 2,867,200원 > 2026년 2,967,600원 100,400원 인상 (3,360,080)
- 7호봉 2025년 2,978,900원 > 2026년 3,083,200원 104,300원 인상 (3,479,960)
- 8호봉 2025년 3,090,600원 > 2026년 3,198,800원 108,200원 인상 (3,599,840)
- 9호봉 2025년 3,202,300원 > 2026년 3,314,400원 112,100원 인상 (3,719,720)
- 10호봉 2025년 3,314,000원 > 2026년 3,430,000원 116,000원 인상 (3,839,600)
- 11호봉 2025년 3,425,700원 > 2026년 3,545,600원 119,900원 인상 (3,959,480)
- 12호봉 2025년 3,537,400원 > 2026년 3,661,200원 123,800원 인상 (4,079,360)
- 13호봉 2025년 3,649,100원 > 2026년 3,776,800원 127,700원 인상 (4,199,240)
- 14호봉 2025년 3,760,800원 > 2026년 3,892,400원 131,600원 인상 (4,319,120)
- 15호봉 2025년 3,872,500원 > 2026년 4,008,000원 135,500원 인상 (4,439,000)
- 16호봉 2025년 3,984,200원 > 2026년 4,123,600원 139,400원 인상 (4,558,880)
- 17호봉 2025년 4,095,900원 > 2026년 4,239,300원 143,400원 인상 (4,678,965)
- 18호봉 2025년 4,207,600원 > 2026년 4,354,900원 147,300원 인상 (4,798,845)
- 19호봉 2025년 4,319,300원 > 2026년 4,470,500원 151,200원 인상 (4,918,725)
- 20호봉 2025년 4,431,000원 > 2026년 4,586,100원 155,100원 인상 (5,038,605)
- 21호봉 2025년 4,542,700원 > 2026년 4,701,700원 159,000원 인상 (5,158,485)
- 22호봉 2025년 4,654,400원 > 2026년 4,817,300원 162,900원 인상 (5,278,365)
- 23호봉 2025년 4,766,100원 > 2026년 4,932,900원 166,800원 인상 (5,398,245)
- 24호봉 2025년 4,877,800원 > 2026년 5,048,500원 170,700원 인상 (5,518,125)
- 25호봉 2025년 4,989,500원 > 2026년 5,164,100원 174,600원 인상 (5,638,005)
- 26호봉 2025년 5,101,200원 > 2026년 5,279,700원 178,500원 인상 (5,757,885)
- 27호봉 2025년 5,212,900원 > 2026년 5,395,400원 182,500원 인상 (5,877,970)
- 28호봉 2025년 5,324,600원 > 2026년 5,511,000원 186,400원 인상 (5,997,850)
- 29호봉 2025년 5,436,300원 > 2026년 5,626,600원 190,300원 인상 (6,117,730)
- 30호봉 2025년 5,548,000원 > 2026년 5,742,200원 194,200원 인상 (6,237,610)
- 31호봉 2025년 5,659,700원 > 2026년 5,857,800원 198,100원 인상 (6,357,490)
6급 공무원 월급 추가 설명
- 계산 방법: 2026년도 봉급은 2025년도 봉급에 3.5% 인상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금액은 반올림 처리하였습니다. (예: 2,308,700 × 1.035 = 2,389,504.5 → 2,389,500원)
- 수당 제외: 위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2025년 기준 6급: 약 18만 5천 원, 2026년도 약 2만 5천 원 인상 예정), 정액급식비(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으로 2만 원 인상 예정) 등 수당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성과연봉제: 6급 공무원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어 기본급 외에 업무 실적에 따른 성과연봉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 호봉 적용: 6급 공무원의 호봉은 경력과 근무 연수에 따라 결정되며, 신규 임용자는 보통 1호봉에서 시작합니다. 민간 경력자는 경력에 따라 높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식 자료: 2026년도 공식 봉급표는 인사혁신처(www.mpm.go.kr) 또는 정부24(www.gov.kr)에서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6년도 6급 공무원 봉급은 2025년 대비 3.5% 인상되어 1호봉 약 2,389,500원에서 32호봉 약 5,973,400원으로, 호봉에 따라 약 8만 원에서 20만 2천 원가량 증가합니다. 실제 수령액은 수당과 성과연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6년 공무원 7급 봉급표 호봉별
- 정근수당: 근무 연수에 따라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 신규 공무원(1호봉 기준)에게는 약 5%로 가정(2025년 기준, 2026년도 동일 적용).
- 직급보조비: 2025년 기준 5급 약 67만 원, 6~8급 약 18만 5천 원, 9급 약 18만 원이며, 2026년도는 약 2만 5천 원 인상(5급: 69만 5천 원, 6~8급: 21만 원, 9급: 20만 5천 원).
- 정액급식비: 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2만 원 인상).
- 실질 월급: 기본급 + 정근수당(기본급 × 5%) + 직급보조비 + 정액급식비로 계산. (성과연봉제는 실적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제외)
- 참고: 실질 월급은 신규 공무원 기준(1호봉 기준 정근수당 5%)으로 계산하였으며, 실제 수령액은 근무 연수, 기타 수당(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상실제수령액은 () 안 금액입니다.
7급 기본급 및 추정 실질 수령액 (괄호안 금액)
- 1호봉 2025년 2,071,100원 > 2026년 2,143,600원 72,500원 인상 (2,514,580)
- 2호봉 2025년 2,174,100원 > 2026년 2,250,200원 76,100원 인상 (2,625,710)
- 3호봉 2025년 2,277,100원 > 2026년 2,356,800원 79,700원 인상 (2,736,840)
- 4호봉 2025년 2,380,100원 > 2026년 2,463,400원 83,300원 인상 (2,847,970)
- 5호봉 2025년 2,483,100원 > 2026년 2,570,000원 86,900원 인상 (2,959,100)
- 6호봉 2025년 2,586,100원 > 2026년 2,676,600원 90,500원 인상 (3,070,230)
- 7호봉 2025년 2,689,100원 > 2026년 2,783,200원 94,100원 인상 (3,181,360)
- 8호봉 2025년 2,792,100원 > 2026년 2,889,800원 97,700원 인상 (3,292,490)
- 9호봉 2025년 2,895,100원 > 2026년 2,996,400원 101,300원 인상 (3,403,620)
- 10호봉 2025년 2,998,100원 > 2026년 3,103,000원 104,900원 인상 (3,514,750)
- 11호봉 2025년 3,101,100원 > 2026년 3,209,600원 108,500원 인상 (3,625,880)
- 12호봉 2025년 3,204,100원 > 2026년 3,316,200원 112,100원 인상 (3,737,010)
- 13호봉 2025년 3,307,100원 > 2026년 3,422,800원 115,700원 인상 (3,848,140)
- 14호봉 2025년 3,410,100원 > 2026년 3,529,500원 119,400원 인상 (3,959,475)
- 15호봉 2025년 3,513,100원 > 2026년 3,636,100원 123,000원 인상 (4,070,605)
- 16호봉 2025년 3,616,100원 > 2026년 3,742,700원 126,600원 인상 (4,181,735)
- 17호봉 2025년 3,719,100원 > 2026년 3,849,300원 130,200원 인상 (4,292,865)
- 18호봉 2025년 3,822,100원 > 2026년 3,955,900원 133,800원 인상 (4,403,995)
- 19호봉 2025년 3,925,100원 > 2026년 4,062,500원 137,400원 인상 (4,515,125)
- 20호봉 2025년 4,028,100원 > 2026년 4,169,100원 141,000원 인상 (4,626,255)
- 21호봉 2025년 4,131,100원 > 2026년 4,275,700원 144,600원 인상 (4,737,385)
- 22호봉 2025년 4,234,100원 > 2026년 4,382,300원 148,200원 인상 (4,848,515)
- 23호봉 2025년 4,337,100원 > 2026년 4,488,900원 151,800원 인상 (4,959,645)
- 24호봉 2025년 4,440,100원 > 2026년 4,595,500원 155,400원 인상 (5,070,775)
- 25호봉 2025년 4,543,100원 > 2026년 4,702,100원 159,000원 인상 (5,181,905)
- 26호봉 2025년 4,646,100원 > 2026년 4,808,700원 162,600원 인상 (5,293,035)
- 27호봉 2025년 4,749,100원 > 2026년 4,915,300원 166,200원 인상 (5,404,165)
- 28호봉 2025년 4,852,100원 > 2026년 5,021,900원 169,800원 인상 (5,515,295)
- 29호봉 2025년 4,955,100원 > 2026년 5,128,500원 173,400원 인상 (5,626,425)
- 30호봉 2025년 5,005,400원 > 2026년 5,180,600원 175,200원 인상 (5,680,630)
7급 공무원 월급 추가 설명
- 계산 방법: 2026년도 봉급은 2025년도 봉급에 3.5% 인상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금액은 반올림 처리하였습니다. (예: 2,071,100 × 1.035 = 2,143,588.5 → 2,143,600원)
- 수당 제외: 위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2025년 기준 7급: 약 18만 원), 정액급식비(2025년 기준: 14만 원) 등 수당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2026년도 수당은 직급보조비 약 2만 5천 원, 정액급식비 약 2만 원 인상될 예정입니다.
- 성과연봉제: 7급 공무원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급여는 기본급과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 호봉 적용: 7급 공무원의 호봉은 경력과 근무 연수에 따라 결정되며, 신규 임용자는 보통 1호봉에서 시작합니다. 민간 경력자는 경력에 따라 높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식 자료: 2026년도 공식 봉급표는 인사혁신처(www.mpm.go.kr) 또는 정부24(www.gov.kr)에서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6년도 7급 공무원 봉급은 2025년 대비 3.5% 인상되어 1호봉 약 2,143,600원에서 30호봉 약 5,180,600원으로, 호봉에 따라 약 7만 2천 원에서 17만 5천 원가량 증가합니다. 실제 수령액은 수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6년 공무원 8급 봉급표 호봉별
- 정근수당: 근무 연수에 따라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 신규 공무원(1호봉 기준)에게는 약 5%로 가정(2025년 기준, 2026년도 동일 적용).
- 직급보조비: 2025년 기준 5급 약 67만 원, 6~8급 약 18만 5천 원, 9급 약 18만 원이며, 2026년도는 약 2만 5천 원 인상(5급: 69만 5천 원, 6~8급: 21만 원, 9급: 20만 5천 원).
- 정액급식비: 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2만 원 인상).
- 실질 월급: 기본급 + 정근수당(기본급 × 5%) + 직급보조비 + 정액급식비로 계산. (성과연봉제는 실적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제외)
- 참고: 실질 월급은 신규 공무원 기준(1호봉 기준 정근수당 5%)으로 계산하였으며, 실제 수령액은 근무 연수, 기타 수당(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상실제수령액은 () 안 금액입니다.
8급 기본급 및 추정 실질 수령액 (괄호안 금액)
- 1호봉 2025년 1,875,600원 > 2026년 1,941,200원 65,600원 인상 (2,312,260)
- 2호봉 2025년 1,964,700원 > 2026년 2,033,500원 68,800원 인상 (2,408,675)
- 3호봉 2025년 2,053,800원 > 2026년 2,125,700원 71,900원 인상 (2,503,785)
- 4호봉 2025년 2,142,900원 > 2026년 2,217,900원 75,000원 인상 (2,598,895)
- 5호봉 2025년 2,232,000원 > 2026년 2,310,100원 78,100원 인상 (2,694,005)
- 6호봉 2025년 2,321,100원 > 2026년 2,402,300원 81,200원 인상 (2,789,115)
- 7호봉 2025년 2,410,200원 > 2026년 2,494,600원 84,400원 인상 (2,884,330)
- 8호봉 2025년 2,499,300원 > 2026년 2,586,800원 87,500원 인상 (2,979,440)
- 9호봉 2025년 2,588,400원 > 2026년 2,679,000원 90,600원 인상 (3,074,550)
- 10호봉 2025년 2,677,500원 > 2026년 2,771,200원 93,700원 인상 (3,169,660)
- 11호봉 2025년 2,766,600원 > 2026년 2,863,400원 96,800원 인상 (3,264,770)
- 12호봉 2025년 2,855,700원 > 2026년 2,955,600원 99,900원 인상 (3,359,880)
- 13호봉 2025년 2,944,800원 > 2026년 3,047,900원 103,100원 인상 (3,455,095)
- 14호봉 2025년 3,033,900원 > 2026년 3,140,100원 106,200원 인상 (3,550,205)
- 15호봉 2025년 3,123,000원 > 2026년 3,232,300원 109,300원 인상 (3,645,315)
- 16호봉 2025년 3,212,100원 > 2026년 3,324,500원 112,400원 인상 (3,740,425)
- 17호봉 2025년 3,301,200원 > 2026년 3,416,700원 115,500원 인상 (3,835,535)
- 18호봉 2025년 3,390,300원 > 2026년 3,509,000원 118,700원 인상 (3,930,750)
- 19호봉 2025년 3,479,400원 > 2026년 3,601,200원 121,800원 인상 (4,025,860)
- 20호봉 2025년 3,568,500원 > 2026년 3,693,400원 124,900원 인상 (4,120,970)
- 21호봉 2025년 3,657,600원 > 2026년 3,785,600원 128,000원 인상 (4,216,080)
- 22호봉 2025년 3,746,700원 > 2026년 3,877,800원 131,100원 인상 (4,311,190)
- 23호봉 2025년 3,835,800원 > 2026년 3,970,100원 134,300원 인상 (4,406,405)
- 24호봉 2025년 3,924,900원 > 2026년 4,062,300원 137,400원 인상 (4,501,515)
- 25호봉 2025년 4,014,000원 > 2026년 4,154,500원 140,500원 인상 (4,596,625)
- 26호봉 2025년 4,103,100원 > 2026년 4,246,700원 143,600원 인상 (4,691,735)
- 27호봉 2025년 4,192,200원 > 2026년 4,338,900원 146,700원 인상 (4,786,845)
- 28호봉 2025년 4,281,300원 > 2026년 4,431,100원 149,800원 인상 (4,881,955)
- 29호봉 2025년 4,370,400원 > 2026년 4,523,400원 153,000원 인상 (4,977,070)
8급 공무원 월급 추가 설명
- 계산 방법: 2026년도 봉급은 2025년도 봉급에 3.5% 인상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금액은 반올림 처리하였습니다. (예: 1,875,600 × 1.035 = 1,941,246 → 1,941,200원)
- 수당 제외: 위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2025년 기준 8급: 약 18만 원, 2026년도 약 2만 5천 원 인상 예정), 정액급식비(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으로 2만 원 인상 예정) 등 수당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성과연봉제: 8급 공무원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급여는 기본급과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 호봉 적용: 8급 공무원의 호봉은 경력과 근무 연수에 따라 결정되며, 신규 임용자는 보통 1호봉에서 시작합니다. 민간 경력자는 경력에 따라 높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식 자료: 2026년도 공식 봉급표는 인사혁신처(www.mpm.go.kr) 또는 정부24(www.gov.kr)에서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6년도 8급 공무원 봉급은 2025년 대비 3.5% 인상되어 1호봉 약 1,941,200원에서 29호봉 약 4,523,400원으로, 호봉에 따라 약 6만 5천 원에서 15만 3천 원가량 증가합니다. 실제 수령액은 수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6년 공무원 9급 봉급표 호봉별
- 정근수당: 근무 연수에 따라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 신규 공무원(1호봉 기준)에게는 약 5%로 가정(2025년 기준, 2026년도 동일 적용).
- 직급보조비: 2025년 기준 5급 약 67만 원, 6~8급 약 18만 5천 원, 9급 약 18만 원이며, 2026년도는 약 2만 5천 원 인상(5급: 69만 5천 원, 6~8급: 21만 원, 9급: 20만 5천 원).
- 정액급식비: 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2만 원 인상).
- 실질 월급: 기본급 + 정근수당(기본급 × 5%) + 직급보조비 + 정액급식비로 계산. (성과연봉제는 실적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제외)
- 참고: 실질 월급은 신규 공무원 기준(1호봉 기준 정근수당 5%)으로 계산하였으며, 실제 수령액은 근무 연수, 기타 수당(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상실제수령액은 () 안 금액입니다.
9급 기본급 및 추정 실질 수령액 (괄호안 금액)
- 1호봉 2025년 1,770,900원 > 2026년 1,832,900원 62,000원 인상 (2,197,445)
- 2호봉 2025년 1,848,800원 > 2026년 1,913,500원 64,700원 인상 (2,279,175)
- 3호봉 2025년 1,926,700원 > 2026년 1,994,100원 67,400원 인상 (2,360,905)
- 4호봉 2025년 2,004,600원 > 2026년 2,074,800원 70,200원 인상 (2,442,740)
- 5호봉 2025년 2,082,500원 > 2026년 2,155,400원 72,900원 인상 (2,524,470)
- 6호봉 2025년 2,160,400원 > 2026년 2,236,000원 75,600원 인상 (2,606,200)
- 7호봉 2025년 2,238,300원 > 2026년 2,316,600원 78,300원 인상 (2,687,930)
- 8호봉 2025년 2,316,200원 > 2026년 2,397,200원 81,000원 인상 (2,769,660)
- 9호봉 2025년 2,394,100원 > 2026년 2,477,800원 83,700원 인상 (2,851,390)
- 10호봉 2025년 2,471,900원 > 2026년 2,558,400원 86,500원 인상 (2,933,120)
- 11호봉 2025년 2,549,800원 > 2026년 2,639,000원 89,200원 인상 (3,014,850)
- 12호봉 2025년 2,627,700원 > 2026년 2,719,700원 92,000원 인상 (3,096,685)
- 13호봉 2025년 2,705,600원 > 2026년 2,800,300원 94,700원 인상 (3,178,415)
- 14호봉 2025년 2,783,500원 > 2026년 2,880,900원 97,400원 인상 (3,260,145)
- 15호봉 2025년 2,861,400원 > 2026년 2,961,500원 100,100원 인상 (3,341,875)
- 16호봉 2025년 2,939,300원 > 2026년 3,042,200원 102,900원 인상 (3,423,710)
- 17호봉 2025년 3,017,200원 > 2026년 3,122,800원 105,600원 인상 (3,505,440)
- 18호봉 2025년 3,095,100원 > 2026년 3,203,400원 108,300원 인상 (3,587,170)
- 19호봉 2025년 3,173,000원 > 2026년 3,284,000원 111,000원 인상 (3,668,900)
- 20호봉 2025년 3,250,900원 > 2026년 3,364,700원 113,800원 인상 (3,750,735)
- 21호봉 2025년 3,328,800원 > 2026년 3,445,300원 116,500원 인상 (3,832,465)
- 22호봉 2025년 3,406,700원 > 2026년 3,525,900원 119,200원 인상 (3,914,195)
- 23호봉 2025년 3,484,600원 > 2026년 3,606,600원 122,000원 인상 (3,996,030)
- 24호봉 2025년 3,562,500원 > 2026년 3,687,200원 124,700원 인상 (4,077,760)
- 25호봉 2025년 3,640,400원 > 2026년 3,767,800원 127,400원 인상 (4,159,490)
- 26호봉 2025년 3,718,300원 > 2026년 3,848,400원 130,100원 인상 (4,241,220)
- 27호봉 2025년 3,796,200원 > 2026년 3,929,100원 132,900원 인상 (4,322,955)
- 28호봉 2025년 3,874,100원 > 2026년 4,009,700원 135,600원 인상 (4,404,685)
9급 공무원 월급 추가 설명
- 계산 방법: 2026년도 봉급은 2025년도 봉급에 3.5% 인상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금액은 반올림 처리하였습니다. (예: 1,770,900 × 1.035 = 1,832,881.5 → 1,832,900원)
- 수당 제외: 위 금액은 기본급 기준이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2025년 기준 9급: 약 18만 원, 2026년도 약 2만 5천 원 인상 예정), 정액급식비(2025년 기준: 14만 원, 2026년도 16만 원으로 2만 원 인상 예정) 등 수당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성과연봉제: 9급 공무원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급여는 기본급과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 호봉 적용: 9급 공무원의 호봉은 경력과 근무 연수에 따라 결정되며, 신규 임용자는 보통 1호봉에서 시작합니다. 민간 경력자는 경력에 따라 높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식 자료: 2026년도 공식 봉급표는 인사혁신처(www.mpm.go.kr) 또는 정부24(www.gov.kr)에서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6년도 9급 공무원 봉급은 2025년 대비 3.5% 인상되어 1호봉 약 1,832,900원에서 28호봉 약 4,009,700원으로, 호봉에 따라 약 6만 2천 원에서 13만 5천 원가량 증가합니다. 실제 수령액은 수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봉급표는 대한민국 공무원 보수규정에 따라 특정 직군에 적용되며, 이는 공무원의 직급과 호봉에 따라 기본급이 결정되는 체계입니다. 아래는 2026년도 기준 공무원 봉급표가 적용되는 주요 직군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정보는 인사혁신처 자료와 관련 법령(공무원 보수규정,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등)을 기반으로 하며, 최신 정보는 인사혁신처(www.mp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봉급표 적용 직군
공무원 봉급표는 주로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으로 분류되는 직군에 적용됩니다. 아래는 봉급표가 적용되는 주요 직군과 그 세부 분류입니다.
1. 국가공무원
국가공무원은 중앙행정기관, 헌법기관, 사법기관 등에서 근무하며, 공무원 보수규정에 따라 1급부터 9급까지의 봉급표가 적용됩니다. 주요 직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행정직군: 행정 업무를 수행하며, 일반행정, 세무, 관세, 통계, 회계, 감사 등 세부 직렬로 나뉩니다.
- 예: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세청, 관세청 등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 기술직군: 공학, 건축, 토목, 기계, 전기, 화학, 농업, 환경 등 기술 관련 업무를 담당합니다.
- 예: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에서 근무하는 기술직 공무원
- 특정직 공무원: 경찰, 소방, 교정, 철도경찰, 검찰, 마약수사, 군무원 등 특정 직무를 수행합니다.
- 예: 경찰청, 소방청, 법무부 교정본부 등
- 외교직 공무원: 외교관, 영사 등 외교 업무를 담당합니다.
- 예: 외교부 소속 외교관
- 연구직 및 지도직: 연구기관(예: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또는 지도직(예: 농업기술지도사) 공무원
- 고위공무원단: 1~3급에 해당하는 고위직으로, 주로 차관급, 국장급, 과장급 공무원(성과연봉제 적용)
2. 지방공무원
지방공무원은 지방자치단체(시·도, 시·군·구)에서 근무하며, 국가공무원과 동일한 봉급표를 사용합니다. 주요 직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방행정직군: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업무(일반행정, 세무, 사회복지 등)를 수행합니다.
- 예: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경기도청 등
- 지방기술직군: 지방자치단체의 기술 관련 업무(건축, 토목, 환경 등)를 담당합니다.
- 지방특정직 공무원: 지방경찰, 지방소방, 지방교정 등 특정 직무를 수행합니다.
- 예: 서울소방서, 경기도소방본부
- 지방교육공무원: 교육청 소속 공무원으로, 행정직(교육행정) 및 기술직이 포함됩니다. 단, 교원은 별도의 교원 봉급표 적용.
3. 교육공무원 (교원 제외)
교육공무원은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에서 행정 및 기술 업무를 수행하며, 공무원 봉급표가 적용됩니다.
- 예: 교육청 소속 행정직(교육행정), 사서, 시설관리직 등
- 단, 교원(유치원·초·중·고교 교사, 대학교수 등)은 별도의 교원 봉급표가 적용되며, 공무원 봉급표와 다릅니다.
4. 계약직 공무원
- 계약직 공무원(예: 전문경력관, 임기제 공무원)도 직급에 따라 공무원 봉급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단, 성과연봉제 또는 별도 계약 조건에 따라 봉급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예: 전문경력관(5급 이상), 임기제 공무원(특정 프로젝트 수행)
5. 기타 공공기관 직원 (제한적 적용)
일부 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의 직원 중 공무원 신분을 가진 자는 공무원 봉급표를 적용받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공기관 직원은 자체 보수규정을 따르며, 공무원 봉급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예: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일부 직원), 공무원 신분을 가진 공공기관 직원
세부 사항
- 봉급표 구조: 공무원 봉급표는 직급(1급~9급)과 호봉(1호봉~최고 호봉)에 따라 기본급이 결정되며, 정근수당,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등 수당이 추가됩니다. 5급 이상은 성과연봉제가 적용되어 기본급 외에 성과급이 포함됩니다.
- 적용 범위: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 따라 공무원 신분을 가진 모든 직원에게 적용됩니다. 단, 공무원연금법에 따라 퇴직연금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제외 직군:
- 교원: 교원은 교육공무원법에 따라 별도의 봉급표를 사용합니다.
- 군인: 군인은 군인사법 및 군인 보수규정에 따라 별도의 봉급표를 적용받습니다.
- 공공기관 일반 직원: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일반 직원은 공무원 봉급표가 아닌 기관별 보수규정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