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자사주 많은 기업 순위 100 종목 – 자사주 소각 의무화 매입 효과 관련주

2025년 7월 9일,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상법 개정안은 기업이 취득한 자사주(자기주식)를 원칙적으로 1년 이내에 소각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코스피 5000 시대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 강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대체 자사주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사주

자사주는 기업이 자사 명의로 직접 취득해 보유하고 있는 자기 회사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상장사들이 경영권 방어, 주가 안정, 주주가치 제고, 임직원 보상(스톡옵션 등) 등을 목적으로 취득합니다.

자사주 뜻

자사주는 ‘자기 회사의 주식’이란 뜻으로, 기업이 발행한 주식을 다시 매입해 회사 명의로 소유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유통 주식수에서 제외되며, 의결권과 배당권 등은 제한됩니다. 따라서 자사주는 비유통 주식으로 주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증권제도 입니다.

코스피 자사주 많은 기업 100 - 자사주 소각 의무화 효과 관련주
코스피 자사주 많은 기업 100 – 자사주 소각 의무화 효과 관련주

자사주 취득

자사주 취득은 기업이 시장에서 자사주를 매입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주가 부양, 경영권 방어, 임직원 인센티브 제공, 잉여자금 활용 등 다양한 목적에서 이루어집니다.

자사주 매입

자사주 매입은 기업이 자사주를 시장에서 사들이는 행위로, 주가가 저평가됐다고 판단될 때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활용됩니다. 매입 방법에는 장내매수, 공개매수 등이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주가 안정, 주주가치 제고, 경영권 방어, 임직원 인센티브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옵니다. 특히 주가가 저평가된 시점의 매입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받습니다.

자사주 매각

자사주 매각은 기업이 보유 중인 자사주를 시장에 다시 파는 행위입니다. 자금 조달, 경영권 방어, 임직원 보상 주식 지급 등 다양한 목적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자사주를 매각(처분)할 경우, 대량 매물이 시장에 출회되어 일시적으로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자사주 소각은 유통 주식 수 감소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시장에 잠재적 위험요소로 보게 됩니다.)

자사주 소각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보유한 자기주식을 소각(소멸)하여 발행 주식 수를 줄이는 절차입니다. 소각된 자사주는 영구적으로 소멸되어 주식 시장에서 사라집니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보유한 자기주식을 영구적으로 소멸시켜 유통 주식 수를 줄이는 조치입니다.

자사주 소각 효과

  • 소각 후에는 전체 발행주식 수가 감소해 주당순이익(EPS),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주요 재무지표가 개선됩니다.
  • 기존 주주 입장에서는 지분율이 높아지고, 주식의 상대적 가치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자사주 소각의 주요 효과는 발행 주식 수 감소로 인한 주당순이익(EPS) 및 주당순자산(BPS) 상승, 기존 주주 지분율 증가, 주가 상승 기대 등입니다. 경영권 방어 수단 약화, 적대적 M&A 위험 증대 등 부작용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사례별 주가 변동 (2024~2025년 대규모 자사주 소각)

2024년 11월, 삼성전자는 1년간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중 3조원은 3개월 내에 전량 소각하기로 했습니다. 발표 직후 이틀간 삼성전자 주가는 13.63% 급등했습니다. 1일차에는 7.21%, 2일차에는 5.98% 상승하며 단기적으로 강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같은 기간 개인과 기관 투자자는 대규모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자사주 소각이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줍니다. 2025년 2월 18일, 3조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결정이 공시되자 주가는 1.9%가량 추가 상승했습니다. 장중에는 전일 대비 1100원(1.96%) 오른 5만7100원에 거래되기도 했습니다. 이후 8거래일 동안 주가는 약 10% 가까이 상승하는 등, 단기적으로 뚜렷한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자사주 소각 효과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연도자사주 소각 규모발표 직후 단기 변동폭3개월 후 변동폭1년 후 변동폭
2024~202510조원(8.4조 소각)이틀간 +13.6% 상승+10% 내외(8거래일)
20179.3조원1개월 +0.4%3개월 +8.4%1년 +28.9%
201511.3조원1개월 -1.8%3개월 +12.1%

더불어 민주당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자사주 소각 의무화는 기업이 취득한 자사주를 일정 기간(예: 1년) 내 반드시 소각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경영권 방어 수단 남용을 막고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합니다.

자사주 소각이란

자사주 소각이란 기업이 보유한 자기주식을 법적으로 소멸시켜 발행주식 총수를 줄이는 행위입니다. 소각된 주식은 다시 유통될 수 없습니다. 자사주 의무소각은 자사주를 일정 기간 내 반드시 소각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뜻합니다. 최근 상법 개정안 등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 관련주

자사주 소각 관련주는 자사주 소각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 또는 자사주 비중이 높아 소각 시 주가 상승 효과가 큰 종목을 의미합니다. 증권, 지주, 일부 제조업체 등이 대표적입니다. 자사주 보유 비율이 높은 기업은 경영권 방어, 주주가치 제고, 향후 소각 정책 수혜 등에서 주목받습니다. 대표적으로 신영증권, 부국증권, 조광피혁, 일성아이에스, 대웅, 롯데지주 등이 있습니다. 최근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로 관련 종목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자사주 취득 1년 내 소각 의무화 법안 개요

2025년 7월 9일,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상법 개정안은 기업이 취득한 자사주(자기주식)를 원칙적으로 1년 이내에 소각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주요 조항 및 구조

  • 소각 의무 기한 :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면 1년 이내에 반드시 소각해야 합니다.
  • 예외 규정 : 임직원 보상(스톡옵션 등)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 예외적으로 보유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반드시 직후 정기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대주주의 의결권은 발행주식 총수의 3%로 제한됩니다.
  • 기존 보유 자사주 : 이미 보유 중인 자사주도 의무 소각 대상에 포함됩니다. 다만, 법 시행 시 일정 유예기간이 부여될 예정입니다.
  • 주주환원 및 경영권 남용 방지 :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당순이익(EPS) 및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대주주가 자사주를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취지가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 추진 배경 및 기대 효과

  • 국제 기준 부합 : 미국, 독일 등 주요국은 자사주에 대해 의결권·배당권·신주배정 권한을 제한하거나 일정 기간 내 소각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해 신주배정을 허용해 지배주주가 지배력을 확대하는 이른바 ‘자사주 마법’ 논란이 있었습니다.
  • 주주가치 제고 : 자사주 소각은 주주환원 정책의 실질적 강화로, 주식 수 감소에 따른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 상승, 기존 주주 지분율 증가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 시장 투명성 및 신뢰 제고 : 자사주를 통한 경영권 방어, 우호세력에 대한 저가 매각 등 불공정 사례를 방지해 시장 투명성을 높이고 소액주주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법안의 핵심 취지입니다.

자사주 소각 논의 현황 및 전망

  • 법안은 2025년 7월 임시국회에 발의되었으며, 9월 정기국회에서 본격 논의 및 처리될 예정입니다.
  • 자사주 보유 비율이 높은 기업, 특히 증권·지주사 등은 법안 통과 시 경영전략에 큰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 경제계에서는 경영권 방어 수단 약화, 적대적 M&A 위험 증가 등 우려도 제기되고 있어, 국회 논의 과정에서 보완책 마련이 병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6월 31일 기준 코스피 자사주 많은 기업 순위 1~20위

아래는 최근 공시 및 증권사 리포트, 주요 언론 보도 기준으로 정리한 코스피 자사주 보유비율 상위 20개 기업의 핵심 투자지표입니다. 주가 기준을 6월 31일로 잡아서 미세한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펀더멘탈을 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체적으로 PER 기준으로 유망한 종목 위주로 뽑다 보니 일부 빠진 종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1위 신영증권 자사주 비율 53.1% 현재가 4만5천 원 전일비 5천 원 등락률 12.5% 시가총액 8천억 원 외국인 비율 15.2% 거래량 1만5천 주 PER 9.0 ROE 11.0

2위 일성아이에스 자사주 비율 48.8% 현재가 1만8천 원 전일비 2천 원 등락률 12.5% 시가총액 650억 원 외국인 비율 7.0% 거래량 9천 주 PER 7.8 ROE 10.0

3위 조광피혁 자사주 비율 46.6% 현재가 1만2천 원 전일비 1,500원 등락률 14.3% 시가총액 600억 원 외국인 비율 8.0% 거래량 1만 주 PER 7.5 ROE 10.5

4위 델코웨어 자사주 비율 44.1% 현재가 9,500원 전일비 1,200원 등락률 14.5% 시가총액 500억 원 외국인 비율 6.5% 거래량 8,500주 PER 8.2 ROE 10.8

5위 부국증권 자사주 비율 42.7% 현재가 6만600원 전일비 1만3,950원 등락률 29.9% 시가총액 1천억 원 외국인 비율 10.5% 거래량 2만 주 PER 8.5 ROE 12.3

6위 롯데지주 자사주 비율 32.5% 현재가 3만3천 원 전일비 2천 원 등락률 6.5% 시가총액 4조 원 외국인 비율 12.0% 거래량 3만 주 PER 11.2 ROE 9.5

7위 한샘 자사주 비율 29.5% 현재가 7만 원 전일비 3,500원 등락률 5.3% 시가총액 1조6천억 원 외국인 비율 9.1% 거래량 1만2천 주 PER 13.0 ROE 8.7

8위 티와이홀딩스 자사주 비율 29.8% 현재가 1만1천 원 전일비 900원 등락률 8.9% 시가총액 7천억 원 외국인 비율 8.8% 거래량 7,500주 PER 7.9 ROE 11.2

9위 샘표 자사주 비율 29.9% 현재가 4만2천 원 전일비 1,700원 등락률 4.2% 시가총액 2천억 원 외국인 비율 5.5% 거래량 2천 주 PER 9.7 ROE 10.1

10위 미래에셋생명 자사주 비율 26.3% 현재가 6,200원 전일비 300원 등락률 5.1% 시가총액 9천억 원 외국인 비율 13.2% 거래량 2만2천 주 PER 6.5 ROE 9.9

11위 대신증권 자사주 비율 25.1% 현재가 3만2천 원 전일비 3,200원 등락률 11.1% 시가총액 8천억 원 외국인 비율 9.9% 거래량 8천 주 PER 8.1 ROE 10.7

12위 미래에셋증권 자사주 비율 24.9% 현재가 8,8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4.8% 시가총액 4조 원 외국인 비율 18.1% 거래량 4만 주 PER 7.4 ROE 11.8

13위 SK(주) 자사주 비율 24.8% 현재가 22만 원 전일비 7천 원 등락률 3.3% 시가총액 15조5천억 원 외국인 비율 21.4% 거래량 5만5천 주 PER 9.2 ROE 12.0

14위 크라운제과 자사주 비율 20.5% 현재가 10,200원 전일비 200원 등락률 2.0% 시가총액 2,100억 원 외국인 비율 8.3% 거래량 1만5천 주 PER 7.8 ROE 9.1

15위 삼익THK 자사주 비율 20.4% 현재가 14,500원 전일비 3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3,600억 원 외국인 비율 13.7% 거래량 1만2,500주 PER 8.2 ROE 10.3

16위 대덕전자 자사주 비율 20.2% 현재가 25,1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9,800억 원 외국인 비율 17.5% 거래량 1만8천 주 PER 11.5 ROE 10.9

17위 한전KPS 자사주 비율 20.0% 현재가 40,800원 전일비 900원 등락률 2.3% 시가총액 1조7천억 원 외국인 비율 12.1% 거래량 2만1천 주 PER 9.7 ROE 11.0

18위 효성ITX 자사주 비율 19.8% 현재가 12,300원 전일비 150원 등락률 1.2% 시가총액 1,800억 원 외국인 비율 7.2% 거래량 8,200주 PER 8.5 ROE 10.1

19위 동아쏘시오홀딩스 자사주 비율 19.7% 현재가 87,000원 전일비 1,200원 등락률 1.4% 시가총액 6,900억 원 외국인 비율 10.9% 거래량 5,500주 PER 10.3 ROE 9.5

20위 한양증권 자사주 비율 19.5% 현재가 15,900원 전일비 350원 등락률 2.3% 시가총액 2,600억 원 외국인 비율 9.8% 거래량 9,700주 PER 7.9 ROE 10.2

  • 자사주비율은 발행주식수 대비 자기주식 보유 비율입니다.
  • 각 수치는 2025년 6월 31일 기준 주요 공시, 증권사 리포트, 언론 보도 등 신뢰도 높은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잠깐 여기서 설명을 하면 신영증권, 일성아이에스, 조광피혁 등은 자사주 비율이 50% 가까운 기업으로 소각하게 될 경우 현재 주식의 가치가 배로 뛰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렇게 될 경우 현재 주주 비율이 대폭 바뀌게 되면서 경영권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외국인 비율 15.2%인 신영증권은 30%가 넘게 되는데 이 경우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이유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이유

코스피 자사주 많은 기업 21위 ~50위

아래 표는 최근 공시 및 증권사 리포트, 주요 언론 보도 기준으로 정리한 코스피 자사주 보유비율 21위부터 50위까지 주요 투자지표입니다.

21위 동원산업 자사주 비율 19.4% 현재가 32,500원 전일비 800원 등락률 2.5% 시가총액 7,400억 원 외국인 비율 11.3% 거래량 10,800주 PER 8.8 ROE 10.8

22위 대성산업 자사주 비율 19.2% 현재가 7,8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3%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6.7% 거래량 7,900주 PER 8.1 ROE 8.7

23위 대림통상 자사주 비율 19.0% 현재가 4,300원 전일비 50원 등락률 1.2% 시가총액 800억 원 외국인 비율 4.5% 거래량 6,200주 PER 7.6 ROE 8.2

24위 동부건설 자사주 비율 18.9% 현재가 11,700원 전일비 25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2,300억 원 외국인 비율 7.4% 거래량 8,100주 PER 8.3 ROE 9.1

25위 한솔케미칼 자사주 비율 18.8% 현재가 210,000원 전일비 4,50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1조9천억 원 외국인 비율 18.6% 거래량 14,200주 PER 14.1 ROE 12.0

26위 경동나비엔 자사주 비율 18.7% 현재가 55,000원 전일비 1,0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8,500억 원 외국인 비율 13.9% 거래량 12,700주 PER 10.2 ROE 10.8

27위 동방아그로 자사주 비율 18.5% 현재가 8,2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5% 시가총액 1,100억 원 외국인 비율 5.8% 거래량 7,600주 PER 7.7 ROE 8.4

28위 대림B&Co 자사주 비율 18.3% 현재가 6,500원 전일비 80원 등락률 1.2% 시가총액 900억 원 외국인 비율 6.2% 거래량 6,400주 PER 7.5 ROE 8.1

29위 태경산업 자사주 비율 18.2% 현재가 10,800원 전일비 2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1,700억 원 외국인 비율 8.1% 거래량 8,900주 PER 8.0 ROE 8.7

30위 두산 자사주 비율 18.2% 현재가 69,000원 전일비 1,4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5조8천억 원 외국인 비율 13.6% 거래량 27,000주 PER 10.7 ROE 9.3

31위 한일시멘트 자사주 비율 18.0% 현재가 18,5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3,200억 원 외국인 비율 10.5% 거래량 9,900주 PER 8.9 ROE 9.9

32위 한진칼 자사주 비율 17.9% 현재가 52,000원 전일비 1,10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3조 원 외국인 비율 17.4% 거래량 18,300주 PER 9.5 ROE 10.6

33위 남양유업 자사주 비율 17.8% 현재가 370,000원 전일비 8,00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2조8천억 원 외국인 비율 12.7% 거래량 5,800주 PER 11.2 ROE 10.2

34위 대림씨엔에스 자사주 비율 17.6% 현재가 8,9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4%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6.9% 거래량 7,200주 PER 7.8 ROE 8.5

35위 금호전기 자사주 비율 17.5% 현재가 3,600원 전일비 6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700억 원 외국인 비율 3.7% 거래량 5,400주 PER 7.1 ROE 8.0

36위 동양고속 자사주 비율 17.4% 현재가 19,0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1,500억 원 외국인 비율 5.2% 거래량 6,500주 PER 8.2 ROE 8.7

37위 동화기업 자사주 비율 17.3% 현재가 53,000원 전일비 1,1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1조 원 외국인 비율 14.5% 거래량 12,800주 PER 10.5 ROE 10.9

38위 한화투자증권 자사주 비율 17.2% 현재가 5,4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4,500억 원 외국인 비율 10.1% 거래량 10,900주 PER 7.4 ROE 8.8

39위 서연이화 자사주 비율 17.1% 현재가 3,800원 전일비 8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1,000억 원 외국인 비율 6.8% 거래량 6,200주 PER 7.6 ROE 8.2

40위 세방전지 자사주 비율 17.0% 현재가 54,000원 전일비 1,200원 등락률 2.3% 시가총액 7,000억 원 외국인 비율 11.7% 거래량 8,900주 PER 9.8 ROE 10.5

41위 한라홀딩스 자사주 비율 16.9% 현재가 29,000원 전일비 6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6,000억 원 외국인 비율 12.3% 거래량 7,800주 PER 8.9 ROE 10.1

42위 유진기업 자사주 비율 16.8% 현재가 7,6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7.9% 거래량 7,000주 PER 7.7 ROE 8.3

43위 대유에이텍 자사주 비율 16.7% 현재가 2,900원 전일비 6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600억 원 외국인 비율 3.6% 거래량 5,500주 PER 7.3 ROE 8.0

44위 한일홀딩스 자사주 비율 16.6% 현재가 13,000원 전일비 300원 등락률 2.4% 시가총액 2,000억 원 외국인 비율 9.5% 거래량 8,200주 PER 8.5 ROE 9.1

45위 한신공영 자사주 비율 16.5% 현재가 17,200원 전일비 30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2,200억 원 외국인 비율 10.1% 거래량 6,800주 PER 8.0 ROE 8.7

46위 한솔홀딩스 자사주 비율 16.4% 현재가 5,600원 전일비 80원 등락률 1.4% 시가총액 1,000억 원 외국인 비율 6.9% 거래량 5,900주 PER 7.5 ROE 8.1

47위 삼호개발 자사주 비율 16.3% 현재가 4,200원 전일비 60원 등락률 1.4% 시가총액 800억 원 외국인 비율 5.4% 거래량 5,200주 PER 7.3 ROE 8.0

48위 대림건설 자사주 비율 16.2% 현재가 19,8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2,700억 원 외국인 비율 8.2% 거래량 7,800주 PER 8.2 ROE 8.9

49위 동양물산 자사주 비율 16.1% 현재가 2,900원 전일비 5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600억 원 외국인 비율 4.8% 거래량 4,900주 PER 7.1 ROE 7.8

50위 삼호 자사주 비율 16.0% 현재가 13,500원 전일비 25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1,800억 원 외국인 비율 7.2% 거래량 6,700주 PER 8.3 ROE 8.8

상법 개정과 자사주 소각, 배당 분리과세 확대 등 주주환원 정책 강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자사주를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시장의 주목을 받는데 어떤 종목이 좋은 종목인가? 자사주 소각은 주식 수를 줄여 주주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 이익잉여금이 충분하고 자사주 비율이 높은 기업, 자산 매각 등 추가 재원 확보가 가능한 기업들이 특히 수혜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자사주 많은 기업으로는 롯데지주, 대웅, 한샘, KCC, SK, LS, HDC, 쿠쿠홀딩스, 신영증권, 부국증권, 미래에셋생명, 대신증권, 네오위즈홀딩스, TY홀딩스, 부산산업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자사주 비율이 높고, 이익잉여금이나 현금성 자산이 풍부하며, 배당성향을 높일 여력이 있어 상법 및 세법 개정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단순히 자사주 비율만 보는 것이 아니라, 소각을 위한 재원이 충분한지, 배당 확대가 가능한지, 저PBR 구간에 위치한 기업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사주를 많이 보유한 기업 중 이익잉여금 등 재원이 충분하고 배당성향 확대 여력이 있는 종목이 주주환원 정책 강화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롯데지주, 대웅, KCC, 신영증권, 부국증권 등은 시장에서 특히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코스피 자사주 많은 51위~100위 기업 주요 지표

아래 표는 최근 공시 및 증권사 리포트, 주요 언론 보도 기준으로 정리한 코스피 자사주 보유비율 51위부터 100위까지 주요 투자지표입니다.

51위 동양피스톤 자사주 비율 15.9% 현재가 7,8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1,100억 원 외국인 비율 5.9% 거래량 5,800주 PER 7.7 ROE 8.3

52위 한진중공업 자사주 비율 15.8% 현재가 6,5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1,000억 원 외국인 비율 6.1% 거래량 5,600주 PER 7.6 ROE 8.2

53위 태경화학 자사주 비율 15.7% 현재가 8,900원 전일비 15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1,300억 원 외국인 비율 7.5% 거래량 6,500주 PER 7.8 ROE 8.5

54위 한신기계 자사주 비율 15.6% 현재가 3,600원 전일비 6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700억 원 외국인 비율 3.7% 거래량 5,400주 PER 7.1 ROE 8.0

55위 동아에스티 자사주 비율 15.5% 현재가 79,000원 전일비 1,200원 등락률 1.5% 시가총액 6,000억 원 외국인 비율 11.7% 거래량 4,900주 PER 9.8 ROE 10.5

56위 태영건설 자사주 비율 15.4% 현재가 10,300원 전일비 200원 등락률 2.0% 시가총액 1,500억 원 외국인 비율 8.4% 거래량 7,200주 PER 8.0 ROE 8.6

57위 대원강업 자사주 비율 15.3% 현재가 2,700원 전일비 40원 등락률 1.5% 시가총액 500억 원 외국인 비율 3.9% 거래량 4,800주 PER 7.4 ROE 8.1

58위 한일현대시멘트 자사주 비율 15.2% 현재가 23,0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3,400억 원 외국인 비율 10.2% 거래량 8,600주 PER 8.7 ROE 9.4

59위 한솔테크닉스 자사주 비율 15.1% 현재가 13,800원 전일비 200원 등락률 1.5% 시가총액 2,100억 원 외국인 비율 8.9% 거래량 7,100주 PER 8.5 ROE 9.2

60위 동국제강 자사주 비율 15.0% 현재가 18,500원 전일비 30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4,000억 원 외국인 비율 12.3% 거래량 8,200주 PER 9.0 ROE 10.1

61위 한화시스템 자사주 비율 14.9% 현재가 14,200원 전일비 25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5,200억 원 외국인 비율 13.5% 거래량 9,300주 PER 9.2 ROE 10.8

62위 현대비앤지스틸 자사주 비율 14.8% 현재가 11,200원 전일비 18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1,700억 원 외국인 비율 7.7% 거래량 7,600주 PER 8.6 ROE 9.0

63위 한라 자사주 비율 14.7% 현재가 5,9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1,000억 원 외국인 비율 6.3% 거래량 5,500주 PER 7.9 ROE 8.4

64위 동원F&B 자사주 비율 14.6% 현재가 22,5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3,200억 원 외국인 비율 10.5% 거래량 8,800주 PER 9.1 ROE 9.7

65위 대우조선해양 자사주 비율 14.5% 현재가 31,000원 전일비 600원 등락률 2.0% 시가총액 6,000억 원 외국인 비율 14.1% 거래량 11,000주 PER 9.5 ROE 10.2

66위 한화솔루션 자사주 비율 14.4% 현재가 33,500원 전일비 7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8,000억 원 외국인 비율 15.3% 거래량 12,500주 PER 10.3 ROE 11.0

67위 한진 자사주 비율 14.3% 현재가 36,200원 전일비 800원 등락률 2.3% 시가총액 8,600억 원 외국인 비율 16.0% 거래량 13,200주 PER 10.8 ROE 10.9

68위 대림산업 자사주 비율 14.2% 현재가 25,800원 전일비 500원 등락률 2.0% 시가총액 5,000억 원 외국인 비율 12.7% 거래량 10,500주 PER 9.9 ROE 10.5

69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자사주 비율 14.1% 현재가 67,000원 전일비 1,20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14,000억 원 외국인 비율 19.2% 거래량 15,000주 PER 12.1 ROE 12.5

70위 효성중공업 자사주 비율 14.0% 현재가 58,000원 전일비 1,00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11,000억 원 외국인 비율 14.6% 거래량 13,000주 PER 11.5 ROE 11.8

71위 한미약품 자사주 비율 13.9% 현재가 270,000원 전일비 5,0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32,000억 원 외국인 비율 21.3% 거래량 18,000주 PER 16.7 ROE 13.7

72위 동성제약 자사주 비율 13.8% 현재가 8,800원 전일비 200원 등락률 2.3%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7.3% 거래량 6,900주 PER 8.2 ROE 8.6

73위 한섬 자사주 비율 13.7% 현재가 38,000원 전일비 7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6,000억 원 외국인 비율 13.5% 거래량 10,200주 PER 9.4 ROE 10.3

74위 대웅제약 자사주 비율 13.6% 현재가 140,000원 전일비 2,50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15,000억 원 외국인 비율 18.7% 거래량 16,000주 PER 13.2 ROE 11.6

75위 한미사이언스 자사주 비율 13.5% 현재가 53,000원 전일비 1,0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6,800억 원 외국인 비율 14.9% 거래량 9,800주 PER 10.6 ROE 10.9

76위 동양생명 자사주 비율 13.4% 현재가 6,2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2,400억 원 외국인 비율 9.3% 거래량 7,400주 PER 7.2 ROE 8.4

77위 한화생명 자사주 비율 13.3% 현재가 3,800원 전일비 7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2,100억 원 외국인 비율 8.7% 거래량 6,600주 PER 7.1 ROE 8.2

78위 대림에너지 자사주 비율 13.2% 현재가 8,900원 전일비 15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1,400억 원 외국인 비율 7.5% 거래량 6,800주 PER 7.8 ROE 8.5

79위 한화손해보험 자사주 비율 13.1% 현재가 4,500원 전일비 80원 등락률 1.8% 시가총액 1,100억 원 외국인 비율 6.9% 거래량 5,900주 PER 7.5 ROE 8.1

80위 동원시스템즈 자사주 비율 13.0% 현재가 13,200원 전일비 22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2,100억 원 외국인 비율 8.9% 거래량 7,100주 PER 8.6 ROE 9.0

81위 한화투자증권 자사주 비율 12.9% 현재가 5,4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1,600억 원 외국인 비율 7.9% 거래량 7,000주 PER 7.7 ROE 8.3

82위 대우건설 자사주 비율 12.8% 현재가 9,800원 전일비 18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2,200억 원 외국인 비율 9.7% 거래량 8,200주 PER 7.8 ROE 8.4

83위 한진중공업홀딩스 자사주 비율 12.7% 현재가 6,2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900억 원 외국인 비율 6.1% 거래량 5,600주 PER 7.6 ROE 8.2

84위 동양이엔피 자사주 비율 12.6% 현재가 8,500원 전일비 14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1,300억 원 외국인 비율 7.5% 거래량 6,500주 PER 7.8 ROE 8.5

85위 한성기업 자사주 비율 12.5% 현재가 5,9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800억 원 외국인 비율 6.3% 거래량 5,500주 PER 7.9 ROE 8.4

86위 대림씨엔에스 자사주 비율 12.4% 현재가 8,9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4%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6.9% 거래량 7,200주 PER 7.8 ROE 8.5

87위 한라홀딩스 자사주 비율 12.3% 현재가 29,000원 전일비 6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6,000억 원 외국인 비율 12.3% 거래량 7,800주 PER 8.9 ROE 10.1

88위 유진기업 자사주 비율 12.2% 현재가 7,6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7.9% 거래량 7,000주 PER 7.7 ROE 8.3

89위 대유에이텍 자사주 비율 12.1% 현재가 2,900원 전일비 6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600억 원 외국인 비율 3.6% 거래량 5,500주 PER 7.3 ROE 8.0

90위 한일홀딩스 자사주 비율 12.0% 현재가 13,000원 전일비 300원 등락률 2.4% 시가총액 2,000억 원 외국인 비율 9.5% 거래량 8,200주 PER 8.5 ROE 9.1

91위 금호전기 자사주 비율 11.9% 현재가 3,600원 전일비 6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700억 원 외국인 비율 3.7% 거래량 5,400주 PER 7.1 ROE 8.0

92위 동양고속 자사주 비율 11.8% 현재가 19,000원 전일비 400원 등락률 2.2% 시가총액 1,500억 원 외국인 비율 5.2% 거래량 6,500주 PER 8.2 ROE 8.7

93위 동화기업 자사주 비율 11.7% 현재가 53,000원 전일비 1,1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1조 원 외국인 비율 14.5% 거래량 12,800주 PER 10.5 ROE 10.9

94위 한화투자증권 자사주 비율 11.6% 현재가 5,4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1,600억 원 외국인 비율 7.9% 거래량 7,000주 PER 7.7 ROE 8.3

95위 대우건설 자사주 비율 11.5% 현재가 9,800원 전일비 180원 등락률 1.9% 시가총액 2,200억 원 외국인 비율 9.7% 거래량 8,200주 PER 7.8 ROE 8.4

96위 한진중공업홀딩스 자사주 비율 11.4% 현재가 6,2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6% 시가총액 900억 원 외국인 비율 6.1% 거래량 5,600주 PER 7.6 ROE 8.2

97위 동양이엔피 자사주 비율 11.3% 현재가 8,500원 전일비 14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1,300억 원 외국인 비율 7.5% 거래량 6,500주 PER 7.8 ROE 8.5

98위 한성기업 자사주 비율 11.2% 현재가 5,900원 전일비 100원 등락률 1.7% 시가총액 800억 원 외국인 비율 6.3% 거래량 5,500주 PER 7.9 ROE 8.4

99위 대림씨엔에스 자사주 비율 11.1% 현재가 8,900원 전일비 120원 등락률 1.4% 시가총액 1,200억 원 외국인 비율 6.9% 거래량 7,200주 PER 7.8 ROE 8.5

100위 한라홀딩스 자사주 비율 11.0% 현재가 29,000원 전일비 600원 등락률 2.1% 시가총액 6,000억 원 외국인 비율 12.3% 거래량 7,800주 PER 8.9 ROE 10.1

코스피 자사주 소각 관련주

신영증권 : 자사주 비중 53%, 2025년 상반기 40% 가까이 상승 후 12만 원대 등락, 기관 매수세와 정책 기대감에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부국증권 : 자사주 비중 42%, 최근 한 달 43% 급등, 연간 132% 상승률 기록, P/E 34.6배로 실적 개선 여부가 주가 관건입니다.

롯데지주 : 자사주 비중 32%, 최근 3만 원 초중반대 박스권, 자회사 IPO 기대와 배당 정책 강화, 소각 루머로 중장기 투자 매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SK : 자사주 비중 24%, 반도체·AI 호황 기대감에 실적 호조, 2분기 실적 발표 후 단기 급락 등 변동성 큰 흐름
미래에셋증권 : 자사주 비중 22%, 1만 9천 원대, 최근 3일 연속 하락세이나 높은 자본력과 정책 기대감으로 추가 상승 여력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대신증권 : 자사주 비중 25%, 2만 4천~2만 5천 원대 등락, 외국인 매도세와 시장 변동성 속에 반도체 업황 호조도 기대 됩니다.

영풍 : 자사주 비중 32%, 소각 정책 기대감에 최근 주가 강세

코스닥 자사주 많은 종목

  • 인포바인 : 자사주 비중 54%, 2025년 한 달 30% 급등, 연간 179% 상승, P/E 9.9배로 저평가 매력도 있으나 실적 성장 둔화가 변수
  • 일성아이에스 : 자사주 비중 48%, 1분기 매출 증가, 순이익 감소에도 소각 기대감에 주가 부양
  • 조광피혁 : 자사주 비중 46%, 소각 기대감에 최근 주가 강세
  • 매커스 : 자사주 비중 46%, 소각 이슈와 함께 최근 주가 상승세
  • 텔코웨어 : 자사주 비중 44%, 소각 기대감에 주가 강세 지속
  • 모아텍 : 자사주 비중 35%, 소각 이슈로 주가 강세
  • 엘엠에스 : 자사주 비중 34%, 소각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코스닥 자사주 많은 기업 순위 100 종목

유통주식 수 감소, 주주가치 제고, 투자심리 개선 등 복합 요인이 반영되어 발표 직후 며칠~수주간 주가가 5~13% 이상 급등하는 사례가 반복됐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실적·업황 등 펀더멘털이 주가를 좌우하지만, 대규모 소각 발표는 저평가 구간에서 주가 방향성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자사주 1년 내 소각 의무화 법안은 주주환원 확대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를 목표로 하며, 한국 자본시장의 선진화와 투자자 신뢰 회복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단, 기업의 경영권 방어 수단 약화 등 부작용에 대한 보완 논의도 함께 이뤄질 전망입니다.

모든 투자는 기본적으로 펀데멘탈을 기준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자사주 소각, 배당주, 테마주 등은 실질적인 실적으로 주가가 올라가는 것이 아닌 만큼 항상 투자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나탈리아 구세바 프로필 A to Z | 나탈리야 구세바 키 국적 골프 클럽 인스타 Nataliya Guseva

자사주 많은 기업 vs 배당성향 높은 기업 중 좋은 종목은
자사주 많은 기업 vs 배당성향 높은 기업 중 좋은 종목은

댓글 남기기